티스토리 뷰
목차
영화 쇼생크 탈출은 1994년에 개봉한 미국의 드라마 장르의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프랭크 다라본트 감독이 제작하였고, 자유 의지, 인내 등의 중요성이란 주제를 다루고 있으며 다양하게 생각할 수 있는 거리를 제공해 주는 영화로써 이 글에서는 아래와 같이 영화 쇼생크 탈출 정보, 쇼생크 주립 교도소, 다양한 생각거리에 대하여 살펴보고자 합니다.
영화 쇼생크 탈출 정보
영화 쇼생크 탈출 정보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이 영화는 1994년 9월 23일 미국에서 개봉된 드라마 장르의 영화입니다. 한국에서는 1995년 1월 28일 개봉되었습니다. 영화 상영시간은 총 142분이며 15세 이상 관람가로 지정되어 있습니다. 이 영화에 출연한 배우로는 주인공 앤디 듀프레인의 역할을 맡은 팀 로빈스, 앤디 듀프레인과 가장 가까운 사이인 엘리스 보이드 레딩 역할을 맡은 모건 프리먼, 교도소장인 워든 노튼 역할을 맡은 밥 건튼 등 다수의 배우들이 있습니다. 영화 제작비로 총 2,500만 달러의 비용이 들었으며, 총 5,830만 달러의 흥행 수익을 냈습니다. 한편 이 영화는 스티븐 킹이라는 작가가 1982년 저술한 리타 헤이워드와 쇼생크 탈출이란 원작 소설을 바탕으로 제작이 된 영화입니다. 이 영화는 1994년에 개봉이 되었을 때 초기에는 흥행 성적이 저조하였지만 비평가들의 호평을 받았으며, 오스카상을 제외한 최우수 작품상을 포함하여 7개 아카데미상 부문 후보에도 올랐으며, 이후에 열렬한 팬층을 확보하기도 하였으며, 지속적인 인기를 통해 AFI(미국 필름 연구소)에서 역대 최고의 할리우드 영화 100에서 72위로 선정되는 등 수많은 찬사를 받기도 하였으며, 한국에서도 1996년과 1998년에 두 차례 더빙판으로 방영되기도 하였습니다. 현재까지도 고전 명작으로 평가받는 이 영화는 살인죄로 억울하게 누명을 쓰고 종신형을 선고받은 은행 부지점장 앤디 듀프레인이 교도소에서 겪는 여정을 이야기하고 있습니다. 앤디 듀프레인이 겪는 여정을 통해 자유의 소중함, 자유 의지의 중요성, 인내 등의 가치를 여실히 보여주고 있습니다. 앤디 듀프레인이 겪는 고뇌와 진정성이 들어간 씁쓸한 표정과 주변 인물들의 진정성이 보이는 연기의 조화를 통해 이 영화의 풍미는 더욱 빛을 발하고 있습니다.
쇼생크 주립 교도소
이 영화에서 메인주의 쇼생크 주립 교도소는 미국 오하이오주 중부에 위치한 맨스필드에 있는 Ohio State Reformatory란 곳을 촬영지로 삼았습니다. 이 영화에서 묘사된 쇼생크 주립 교도소는 하나의 매력적인 요소로 볼 여지가 있습니다. 이 쇼생크 주립 교도소에 대해서 아래와 같이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교도소는 영화 전체의 분위기를 조성하는 인상적인 역할을 주도하고 있습니다. 시청자들은 이 교도소를 바라보면서 압도감을 느끼게 되는데, 철조망이 있는 드높은 담장과 위풍당당한 감시탑은 그러한 압도감을 한층 더해주며, 관객들도 마치 교도소 안에서 수감되어 억압되어 있는 느낌을 받을 수 있게 해 줍니다. 건물 외벽의 차분한 회색톤의 색상과 뚜렷한 건축 양식은 이 교도소 안의 수감자들이 느끼는 고립감과 억압감을 강화시키는 장치로 작용합니다. 이 교도소의 건축 양식은 고딕 건축의 복고적인 양식인데 이 양식은 19세기말에서 20기 초까지 유행한 양식입니다. 이 양식은 뾰족한 아치 모양, 복잡한 석조물 등의 요소를 그 특징으로 하고 있습니다. 이러한 특징들은 쇼생크 주립 교도소의 위엄 있고 억압적인 외형이 더욱 돋보일 수 있게 해 주며 감금과 통제의 장소로서의 역할을 한층 더 강화시키고 있습니다. 또한 감시탑으로 뒤덮인 우뚝 솟아 있는 주변 벽이란 요소는 중세 요새를 연상시키면서 실용적 목적과 상징적인 목적을 모두 아우를 수 있는 유용한 요소로 자리하고 있습니다. 실용적 목적으로는 이 영화의 경비원들에게 교도소 안을 감시하기 용이한 위치를 제공하여 교도소의 보안을 강화시킬 수 있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이며, 상징적 목적으로는 이렇게 강화된 보안을 통해 권위와 통제의 장소로서 교도소의 지위와 위엄을 강조할 수 있다는 점을 들 수 있을 것입니다. 교도소 내부의 감방과 복도는 극도로 실용화된 모습을 보여주고 있습니다. 감방은 비좁고 가구는 드물게 비치되어 있으며 작은 침대와 작은 책상, 화장실만 포함되어 있습니다. 이렇게 극도로 제한된 공간 안에서 수감자들의 행동반경은 쉽게 통제되고 이를 통해 수감자들의 통제라는 실용적 목적을 달성하기 용이하게 됩니다. 어두운 조명의 복도는 통제와 감시 속에 있는 수감자들을 무기력감에 빠지는 장치로서 작용하며 그들을 이 교도소 안의 생활에서 타성에 젖게 합니다. 이렇게 타성에 젖은 그들은 그저 순응에 빠진 채로 통제의 먹잇감이 되어 버립니다. 이렇게 쇼생크 주립 교도소에 대해 살펴보았는데, 이 교도소는 단순한 물리적 공간 이상의 의미를 가진 곳이라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이 교도소는 영화의 분위기를 주도하며, 이 영화의 결말까지 관객들이 한 치의 긴장감도 놓을 수 없게 하며, 한 층 더 깊은 몰입을 유도합니다. 단순해 보이지만 세심하게 디자인된 쇼생크 주립 교도소를 통하여 영화의 여운까지 느낄 수 있습니다.
다양한 생각거리
이 영화를 통해서 다양한 생각거리를 되짚어 보게 됩니다. 이 영화를 시청한 개개인마다 이 영화에 대해 관조하는 점은 다를 것이지만, 아래와 같이 이 영화에 대한 생각거리들을 살펴보고자 합니다. 이 영화를 통해 우선 자유 의지의 지대한 중요성에 대해 다시 한번 생각해 보게 됩니다. 앤디 듀프레인은 누명으로 쇼생크 주립 교도소에 수감된 절망적인 상황에서도 자유 의지를 바탕으로 자신의 운명을 선택하는 결단을 하게 됩니다. 그는 특유의 성실함을 꿋꿋이 유지하며 절망적인 상황에 굴복하지 않고 자신의 자유 의지를 실천하며 끝내 억압의 굴레에서 벗어날 수 있게 됩니다. 앤디 듀프레인과 가장 가까운 사이의 동료 수감자인 엘리스 보이드 레딩은 과거의 자신을 버리고 현재의 자신으로 거듭나고 발전하려는 자유 의지를 보여주며 마지막에 앤디 듀프레인과 재회하는 모습을 보여줍니다. 이렇게 두 인물이 자신들의 자유 의지 실현을 하는 모습을 통해 인간의 회복력이 가진 위대함을 시사하기도 합니다. 한편 교도소에서의 삶에 타성이 젖은 한 인물이 있는데 그는 바로 브룩스입니다. 그는 나이가 지긋한 노인인데 이미 자신이 나이가 많이 들은 상태이기 때문에 교도소에서의 생활을 더 하고 싶어 하며 헤이우드를 붙잡고 인질극을 펼친 뒤에 나중에 사회로 출소한 뒤 얼마 지나지 않아 스스로 목숨을 끊게 됩니다. 교도소에서 나가기 전에 자신이 키우던 까마귀를 풀어주는 모습은 마치 자신의 자유 의지를 대신 실천해 달라고 의탁하는 것을 반영하는 것처럼 보입니다. 브룩스가 브룩스는 여기 있었다는 문구를 칼로 새긴 채로 생을 마감하는 모습은 어쩌면 마지막으로 자기 나름대로의 자유 의지를 표현한 것일지도 모릅니다. 다음으로 이 영화는 죄수의 딜레마 이론과도 연관성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죄수의 딜레마 이론은 두 개인이 서로 협력하여 두 개인이 모두 이득을 취할지 아니면 자신의 이익만을 추구하여 자신뿐만 아니라 상대방에게도 피해를 입히는 현상에 관한 이론입니다. 이 이론은 이 영화의 상황에 완벽하게 부합하지는 않더라도 유사성을 보이는 측면이 있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앤디 듀프레인은 어려운 상황에 직면해 있어도 자신의 성실성을 유지하고 다른 수감자들을 우호적인 태도로 대하며 서로 발전적인 방향으로 나아갈 수 있도록 교도소 내의 한 방을 도서관으로 만들어 상생을 추구합니다. 반면에 엘리스 보이드 레딩은 처음에는 이러한 앤디 듀프레인의 태도에 회의적인 시각을 보이며 그를 도와주면서도 그에 대대해 완전히 신뢰하고 그의 신념에 투자하는 것을 주저하는 모습을 보여주기도 합니다. 하지만 시간이 지나면서 앤디 듀프레인의 끊임없는 성실성과 확고한 자유 의지 등에 자신도 모르게 감화를 받은 탓인지 종국적으로는 그와 협력하게 되며 이 둘은 진정한 동맹자가 됩니다. 마지막 장면까지 비록 죄수의 딜레마 이론과 완벽하게 부합하지는 않더라도 결국은 이 둘은 모두 자유라는 이득을 취할 수 있게 됩니다. 이렇게 영화에 반영된 죄수의 딜레마 이론이라는 측면은 억압이라는 압제된 상황에서 개인이 선택한 결과와 난관을 헤쳐나가는 데 있어서 신뢰와 협력의 중요성을 깨닫게 해 준다고 볼 수 있을 것입니다. 마지막으로 첨언이지만, 이 영화의 후반부에 나오는 장면 중 앤디 듀프레인이 교도소 탈출에 성공하고 빗속에서 자신의 양팔을 위로 벌리며 기뻐하는 장면처럼 우리 자신들도 각자 어려운 상황 속에서도 인내하고 자유 의지 실천을 통해 원하는 결과를 얻었으면 하는 소망으로 이 글을 마치고자 합니다.